부드러운보석 마쥬

반응형

트럼프 정부 2기가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 요즘입니다. 본 포스팅에 앞서 2025 트럼프 정부의 대표 공약과 관련주를 살펴보세요.

 

📌 해외 사업 확장이 가능한 한국의 인프라 관련주

트럼프 2기가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이미 국제 정세에는 엄청난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지독했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데 이어 트럼프 정부가 본격적으로 우크라이나・러시아 종전을 위한 중재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전쟁으로 많은 지역이 완파가 됐기 때문에 향후 전후 도시 재건 상황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글로벌 인프라 시장이 확대되면서, 해외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의 인프라 관련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건설사와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중동, 동남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주가

🔹 1. 현대건설 (000720.KQ)

현대건설은 국내 1위 건설사로, 해외 플랜트 및 원전, 토목 사업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 해외 수주: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대규모 프로젝트
  • 주요 사업: 원자력 발전소, 고속도로, 항만, 플랜트
  • 최근 동향: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 참여

GS건설 주가

🔹 2. GS건설 (006360.KQ)

GS건설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스마트 인프라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 해외 수주: 유럽 및 동남아시아 주요 건설 프로젝트
  • 주요 사업: 신도시 개발, 친환경 플랜트, 데이터센터 건설
  • 최근 동향: 미국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 건설

대우건설 주가

🔹 3. 대우건설 (047040.KQ)

대우건설은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도로 및 플랜트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해외 수주: 나이지리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프라 사업
  • 주요 사업: 고속도로, 주택 개발, 항만 건설
  • 최근 동향: LNG 플랜트 및 해양 건설 사업 확장

삼성E&A 주가

🔹 4. 삼성엔지니어링 (028050.KQ)

삼성엔지니어링은 석유화학 플랜트 및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를 주력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중동 및 북미 시장에서 강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 해외 수주: 사우디, UAE, 미국 대형 플랜트 사업
  • 주요 사업: 석유화학 플랜트, 정유 공장, 대형 인프라
  • 최근 동향: 친환경 수소 플랜트 기술 개발

포스코홀딩스 주가

🔹 5. 포스코이앤씨 (005490.KQ)

포스코이앤씨는 철강 기반 건설 사업을 수행하며 친환경 인프라 및 철도 사업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 해외 수주: 유럽 및 동남아시아 고속철도 프로젝트
  • 주요 사업: 스마트시티 개발, 친환경 주택, 철도 및 항만 건설
  • 최근 동향: 탄소 중립 건설 기술 도입

💡 해외 인프라 관련주 투자 시 유의점

최근 위 종목들의 주가 흐름을 봤을 때 장기적으로 침체에 빠져 있거나 횡보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최근 국내 건설 경기가 지속적으로 좋지 않았죠. 또한 해외 인프라 관련주 투자는 정책 변화, 환율, 국제 경제 상황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전후 재건 사업은 프로젝트 수주 여부에 따라 방향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에 지속적으로 뉴스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해외 수주 실적: 최근 몇 년간의 해외 프로젝트 성과
  • 정책 및 규제: 해당 국가의 정부 정책과 규제 변화
  • 환율 리스크: 달러 및 원화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


[관련 뉴스]

 

우크라이나 종전 급물살…K-건기·석화·인프라 ‘날개’

[헤럴드경제=고은결·한영대 기자] 4년째 계속된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논의가 급물살을 탄 가운데 국내 기업들에게는 사업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막대한 규모의 재건 사업

v.daum.net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