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의 끝자락,
문자 메시지 한 통과 함께 나는 직업이 생겼다.
나름 큰 기업이라
불리는 곳에 입사했다.
그리고
8개월 지난 2018년 8월,
나는 다시 무직이 되었다.
2020년 4월,
나는 나의 퇴사를 돌이켜 본다.
퇴사했을 때의 내 머릿속을 생각하니,
퇴사회로가 적극적으로 움직였던 것 같다.
퇴사회로를 가동시켰던
핵심 요소는 '합리화'였다.
나의 퇴사는 조금은
'즉흥적'이었고 '무계획적'이었다.
계획이 있어 퇴사를 하는 많은 사람들과 달리
나는 별다른 계획이 없었다.
그냥 이곳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고 싶었다.
1. 하루빨리 퇴사하는 것이 내 인생에 유익할 것이다.
이것이 나의 첫 번째 합리화였다.
이곳에서 있는 시간은 나에게 무익하며,
이곳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나 도달하고 싶은 미래가 없는데,
이곳에서 나의 현재를 보내는 것은
부조리해 보였다.
그래서 계획은 없지만
일단 퇴사 신청을 해야겠다고 판단했다.
2. 이 일을 하면서 다른 일을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일을 하면서는 다른 계획을 짤 수 없다는 것이
나의 두 번째 합리화였다.
이는 멍청한 생각이었다.
왜냐하면 퇴사한 뒤에도 계획짜는 것은
여전히 힘들었기 때문이다.
지금 힘든 일은 나중에도 힘들다.
지금 귀찮은 일은 나중에도 귀찮다.
이것이 퇴사 후 내가 얻은 교훈이다.
3. 돈은 당분간 좀 아껴 쓰면 괜찮다.
신입 사원으로 받는 돈은 크지 않았고,
회사 다니면서 쓰는 돈도 많으니,
돈은 좀 아끼면 괜찮다는 것이
나의 세 번째 합리화였다.
이것이 제일 위험한 생각이었다.
일하지 않으니 돈은 2배(체감상 10배)로
빨리 사라졌다.
그래서인지 퇴사를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나의 선택을 후회하기도 했다.
불안함은 매일매일 찾아왔다.
회사를 다니면서 받는 스트레스보다
더 큰 스트레스가 찾아오는 것만 같았다.
(스트레스는 항상 지금 제일 크다.)
그러나,
이 모든 부정적인 감정들을 상쇄시키는 것은
'믿음'과 '응원'이었다.
퇴사를 결정한 당시 하나 확실했던 건
나에 대한 믿음이었다.
어느 하나 안전하고 쉬운 길이 없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은 나를 믿는 것이다.
그리고
나의 소중한 사람들이 나를 응원해 주는 것.
그것은 나를 움직이는 힘이었다.
여전히 나는 불안한 길 한복판에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제는 퇴사를 후회하지 않는다.
선택을 후회하는 것은
소모적이고 비참한 것임을
오랜 시간에 걸쳐 깨달았기 때문이다.
"퇴사를 한 다른 누군가에게도
후회가 아닌 믿음이 남기를 바란다."
매일 부자처럼 사는 방법 f.어바웃 타임 | 파이어족 (4) | 2020.06.19 |
---|---|
주식 투자하는 이유 feat. 존리 | 파이어족 (2) | 2020.05.09 |
행복 극대화하기 - 나를 행복하게 하는 목록 | 파이어족 (0) | 2020.05.03 |
파이어족의 의미와 그 본질 (FIRE 운동, FIRE족) (2) | 2020.04.23 |
코로나 사태에서 뜬금없이 생겨난 귀여운 인류애 (0) | 2020.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