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보석 마쥬

반응형

현재 미얀마는 내전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고 있는데 지난 3월 28일 규모 7.7의 지진까지 일어났습니다. 정말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하루빨리 피해가 최소화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미얀마의 역사와 내전의 배경

우선 미얀마의 과거 국명 '버마'는 전체 135개 민족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전체 인구의 68%)을 차지하는 버마족에서 유래했습니다. 다만 1988년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진압한 군부는 '식민지 시절 서구 색채를 탈피해 민족 주체성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나라 이름을 '미얀마'로 바꾸고 1989년 유엔에서 승인을 받았습니다. 미얀마는 버마족에 대해 현지인들이 발음하는 명칭입니다.

미얀마(구 버마)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나라로, 오랜 역사 동안 수많은 변화와 갈등을 겪어왔습니다. 1948년 영국에서 독립한 이후 여러 차례 군사 쿠데타와 내전을 겪으며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발생한 군부 쿠데타 이후 현재까지 심각한 내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미얀마의 역사 개요

1. 고대 미얀마

미얀마 지역에는 기원전부터 여러 왕국이 존재했습니다. 대표적인 고대 왕국으로는 파간 왕국(11~13세기)이 있습니다. 파간 왕국은 불교 문화를 발전시키며 많은 사원을 건설했으며, 현재까지도 바간 지역에서 그 유적을 볼 수 있습니다.

2. 영국 식민지 시대 (1824~1948)

19세기에는 영국이 미얀마를 침략하여 식민지로 삼았습니다. 1824년부터 1885년까지 세 차례의 영국-미얀마 전쟁을 거쳐 미얀마는 결국 완전히 영국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됩니다. 이 시기 동안 미얀마는 영국령 인도에 편입되었으며, 경제적으로 착취당하고 문화적으로 억압받았습니다.

©Wikipedia 아옹산 수 찌

3. 독립과 민주주의 시대 (1948~1962)

1948년, 미얀마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습니다. 그러나 독립 직후부터 소수민족 문제와 정치적 갈등이 발생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주요 지도자는 아웅 산(Aung San)으로, 그는 미얀마 독립을 주도했으나 독립 직전에 암살당했습니다. 이후 그의 딸인 아웅 산 수치(Aung San Suu Kyi)가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됩니다.

©Wikipedia 네 윈

4. 군부 독재 시대 (1962~2011)

1962년 네 윈(Ne Win)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군사 정권을 수립하였습니다. 이후 미얀마는 사회주의 노선을 따르며 국제적으로 고립되었습니다. 1988년 8월 8일에는 대규모 민주화 시위(8888 항쟁)가 일어났으나 군부가 이를 강경 진압하면서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1990년 총선에서 아웅 산 수치의 NLD(민족민주연맹)가 승리했으나, 군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계속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5. 민주주의 이행과 다시 군부 쿠데타 (2011~현재)

2011년 군부가 개혁을 선언하며 민간 정부가 들어섰고, 2015년에는 아웅 산 수치가 주도하는 NLD가 총선에서 승리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 2월, 다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민주 정부를 전복시키고 미얀마는 또다시 혼란에 빠졌습니다.


🔥 미얀마 내전의 이유

1. 군부의 장기 독재

미얀마 군부(타트마도)는 독립 이후 지속적으로 권력을 유지하려 했으며, 이를 위해 쿠데타를 반복해 왔습니다. 특히 2021년 쿠데타는 민주주의를 향한 미얀마 국민의 열망을 무시하고, 군부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저지른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Wikipedia 로힝야족

2. 소수민족 문제

미얀마에는 약 135개의 소수민족이 존재하며, 이들은 오랫동안 중앙정부와 갈등을 겪어왔습니다. 특히 샨족, 카렌족, 카친족 등은 독립을 요구하며 무장투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얀마는 수십 년간 내전 상태를 유지해왔습니다.

로힝야족 민족기

3. 로힝야족 탄압

로힝야족은 미얀마 서부 라카인 주에 거주하는 이슬람 소수민족으로, 미얀마 정부로부터 시민권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2017년 군부가 로힝야족을 강제 추방하면서 국제사회에서도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4. 경제적 불평등

군부와 일부 엘리트 계층이 부를 독점하고, 일반 국민은 빈곤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되면서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하게 되었습니다.

5. 국제사회 개입 부족

국제사회는 미얀마 군부를 비판하고 있지만, 강력한 제재나 군사적 개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얀마 내전이 장기화되고 있으며, 국민들의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국제 고립' 미얀마 지진참사에 지원 물결…트럼프도 "돕겠다"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미얀마 중부에 규모 7.7 강진이 강타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국제 사회는 속속 항공기와 구호대를 급파...

www.yna.co.kr

🚨 현재 미얀마 상황

미얀마는 현재도 내전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군부와 반군 세력 간의 충돌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군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많은 미얀마 국민들은 여전히 민주주의와 평화를 위한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현재는 엄청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피해가 너무 커지고 있습니다. 사망자가 1만 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내전과 지진으로 국민들의 아픔만 더 커지고 있는 미얀마가 얼른 안정화됐으면 합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