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보석 마쥬

반응형

롱테일을 알아보기에 앞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경제 용어인 롱(Long)과 숏(Short)이 있죠. 롱과 숏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이탈리아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다!" -빌프레도 파레토

이탈리아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얘기하는 거죠. 이를 활용하여 경영학에선 파레토 법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파레토 법칙을 80대 20 법칙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파레토 법칙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이런 모습이 나옵니다.

노란색 부분이 긴 꼬리(The Long Tail), 즉 롱테일입니다.

 

이 그래프를 일상의 경제 환경에 적용하여 볼까요? 초록색 부분은 잘 팔리는 소수의 제품들, 노란색 부분은 그보다 인기가 덜한 다수의 제품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노란색 부분은 수요는 적지만 수가 많기 때문에 길게 늘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 거죠. 파레토 법칙은 일반적으로 소수가 다수를 지배한다는 개념으로 사용하지만 롱테일을 얘기할 땐 그 관점이 다릅니다. 길게 늘어져 있는, 주목 받지 못하는 다수, 즉 롱테일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이죠. 꼬리가 몸통을 흔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제학에선 롱테일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얘도 꼬리가 길죠

롱테일 법칙이란?

롱테일 법칙(The Long Tail)은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이 2004년 발표한 경제 이론으로, 소수의 인기 제품보다 다수의 비인기 제품이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전통적인 유통 방식에서는 판매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베스트셀러나 인기 상품 중심으로 판매합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무한한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비인기 제품의 매출이 전체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롱테일 법칙의 핵심 개념

  • 비인기 제품의 가치: 대형 플랫폼에서는 소수의 인기 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롱테일 제품이 소비됩니다.
  • 온라인 플랫폼의 영향: 아마존, 넷플릭스, 유튜브 등의 플랫폼은 롱테일 전략을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합니다.
  • 검색 엔진 최적화(SEO): 롱테일 키워드를 활용하면 경쟁이 적은 검색어로 유입을 늘릴 수 있습니다.

Amazon; Spend less, Smile more

롱테일 법칙 성공 사례

1️⃣ 아마존(Amazon) – 온라인 서점의 롱테일 전략

아마존은 베스트셀러뿐만 아니라 절판된 도서나 희귀 도서를 함께 판매하면서 엄청난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일반 서점에서는 매장 공간의 한계로 인해 인기 도서만 판매하지만, 아마존은 온라인 플랫폼의 강점을 활용하여 모든 고객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도서를 제공합니다.

결과: 전체 매출의 50% 이상이 비인기 도서에서 발생

2️⃣ 넷플릭스(Netflix) – 맞춤형 콘텐츠 추천

넷플릭스는 최신 인기 영화뿐만 아니라 다큐멘터리, 인디 영화, 외국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롱테일 전략을 극대화했습니다.

결과: 전체 시청 시간의 70% 이상이 인기 콘텐츠가 아닌 추천 콘텐츠에서 발생

3️⃣ 유튜브(YouTube) – 니치(Niche) 크리에이터 성장

유튜브에서는 대형 채널뿐만 아니라 소규모 크리에이터들이 특정 관심사(예: ASMR, 미술 강의, 희귀 자동차 리뷰 등)를 다루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결과: 인기 없는 콘텐츠라도 꾸준한 조회수를 확보하여 수익 창출 가능


롱테일 법칙 활용 방법

1.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서 롱테일 키워드 활용

  • 경쟁이 높은 단어보다 구체적인 롱테일 키워드(예: “건강한 다이어트 식단 추천 2024”)를 사용
  • SEO 최적화된 블로그, 유튜브 콘텐츠를 제작하여 검색 유입 증가

2. 이커머스 & 쇼핑몰에서 롱테일 전략 적용

  • 특정 상품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판매
  • 소비자가 잘 모르는 니치 제품을 적극적으로 마케팅하여 경쟁에서 벗어나기

3. 콘텐츠 플랫폼에서 롱테일 전략 활용

  • 특정 관심사(예: “캠핑 초보자를 위한 필수 아이템”)를 다루는 콘텐츠 제작
  • 구독자 수가 적더라도 충성도 높은 팬층을 확보

롱테일 법칙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다양한 소비자 니즈 충족: 특정 소수만 찾는 콘텐츠라도 전체적으로 높은 매출을 올릴 수 있음
  • 경쟁이 낮음: 인기 제품보다 롱테일 제품은 경쟁이 적어 마케팅 비용 절감 가능
  • 장기적 수익 창출: 지속적으로 조회되거나 판매되는 콘텐츠(유튜브 영상, 블로그 글 등)를 통해 꾸준한 수익 발생

❌ 단점

  • 초기 수익이 낮을 수 있음: 롱테일 제품은 시간이 지나야 성과를 볼 수 있음
  • 운영 관리 필요: 다양한 제품이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함

롱테일 법칙의 미래

AI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이 발전하면서 롱테일 전략은 더욱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아마존, 유튜브 등은 개인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통해 니치 콘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AI 기반 검색엔진이 더욱 발전하면 초개인화된 검색 결과와 맞춤형 콘텐츠 추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결론: 롱테일 법칙을 적극 활용하자!

디지털 시대에서는 소수의 인기 상품보다 다양한 니치 콘텐츠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롱테일 전략을 제대로 활용하면 경쟁을 피하면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