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테일을 알아보기에 앞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경제 용어인 롱(Long)과 숏(Short)이 있죠. 롱과 숏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탈리아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얘기하는 거죠. 이를 활용하여 경영학에선 파레토 법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파레토 법칙을 80대 20 법칙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파레토 법칙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이런 모습이 나옵니다.
이 그래프를 일상의 경제 환경에 적용하여 볼까요? 초록색 부분은 잘 팔리는 소수의 제품들, 노란색 부분은 그보다 인기가 덜한 다수의 제품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노란색 부분은 수요는 적지만 수가 많기 때문에 길게 늘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 거죠. 파레토 법칙은 일반적으로 소수가 다수를 지배한다는 개념으로 사용하지만 롱테일을 얘기할 땐 그 관점이 다릅니다. 길게 늘어져 있는, 주목 받지 못하는 다수, 즉 롱테일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이죠. 꼬리가 몸통을 흔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제학에선 롱테일 법칙이라고 부릅니다.
롱테일 법칙(The Long Tail)은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이 2004년 발표한 경제 이론으로, 소수의 인기 제품보다 다수의 비인기 제품이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전통적인 유통 방식에서는 판매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베스트셀러나 인기 상품 중심으로 판매합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무한한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비인기 제품의 매출이 전체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아마존은 베스트셀러뿐만 아니라 절판된 도서나 희귀 도서를 함께 판매하면서 엄청난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일반 서점에서는 매장 공간의 한계로 인해 인기 도서만 판매하지만, 아마존은 온라인 플랫폼의 강점을 활용하여 모든 고객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도서를 제공합니다.
결과: 전체 매출의 50% 이상이 비인기 도서에서 발생
넷플릭스는 최신 인기 영화뿐만 아니라 다큐멘터리, 인디 영화, 외국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관심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롱테일 전략을 극대화했습니다.
결과: 전체 시청 시간의 70% 이상이 인기 콘텐츠가 아닌 추천 콘텐츠에서 발생
유튜브에서는 대형 채널뿐만 아니라 소규모 크리에이터들이 특정 관심사(예: ASMR, 미술 강의, 희귀 자동차 리뷰 등)를 다루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결과: 인기 없는 콘텐츠라도 꾸준한 조회수를 확보하여 수익 창출 가능
AI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이 발전하면서 롱테일 전략은 더욱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아마존, 유튜브 등은 개인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통해 니치 콘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AI 기반 검색엔진이 더욱 발전하면 초개인화된 검색 결과와 맞춤형 콘텐츠 추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시대에서는 소수의 인기 상품보다 다양한 니치 콘텐츠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롱테일 전략을 제대로 활용하면 경쟁을 피하면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테니스 이름의 어원 및 스코어 유래 f.라코스테&롤랑가로스 (0) | 2023.05.28 |
---|---|
표준 중국어 '만다린어'의 어원 f.귤 (0) | 2021.04.11 |
아보카도의 어원과 특징 f.물먹는 괴물 (0) | 2021.01.31 |
Invest 투자의 어원 f.라틴어 (4) | 2020.07.26 |
포트폴리오의 어원과 의미 f.이탈리아어 (4) | 2020.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