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요즘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공동 창업자인 지인과 얘기를 나누다가,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이란 주제가 나왔다.
필자는 개념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조금 더 면밀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이 들었고,
창업의 방향성을 위해서도
린 스타트업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됐다.
형(필자의 공동 창업자)이 책을 한 권 추천해줬고,
우선은 그 책을 보면서
개념과 세부적인 방법들을 익히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히,
린 스타트업의 정의와 방법에 대해 다룰 것이다.
Lean Startup?
사전적인 정의를 하면,
'Lean한(간결한) 스타트업'
이렇게 해석할 수 있다.
조금 풀어서 사업적인 정의를 하면,
아이디어를 단기간에 제품으로 만든 후
시장 반응을 다음 제품에 반영하는 것을 반복하여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경영 전략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이제, 구체적인 방법(원칙)에 대해 알아보자.
(*린 스타트업 책의 일부 발췌)
<1>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조직이라면
모두 스타트업이다.
<2>
창업가 정신은 관리다.
스타트업은 제품만으로 성공할 수 없다.
스타트업이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성공하려면 새로운 방식의 관리를 필요로 한다.
<3>
지속 가능한 사업을 어떻게 만들지
학습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4>
만들고 측정하고 배운다.
스타트업의 핵심은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만들고,
고객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측정한 후,
이 부분을 그대로 지켜야 하는지,
다른 쪽으로 방향 전환(pivot)해야 하는지를
학습해 나가는 것이다.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이러한 피드백 순환을
최대한 빨리 돌아야 한다.
<5>
혁신 회계(Innovation accounting);
창업가로서 좋은 성과를 내려면
지루한 것들에 집중해야 한다.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마일스톤을 어떻게 세팅하며,
일의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할지에 집중해야 한다.
(*린 스타트업, 들어가는 말 XVII-XVIII)
필자가 아직 창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위 내용은 굉장히 임팩트 있게 다가온다.
린 스타트업 방법론은,
스타트업으로서,
불확실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아닐까?
*책 정보 : <린 스타트업>, 에릭 리스 지음/ 이창수・송우일 옮김, 인사이트, 2012
앞으로도 블로그를 활용하여,
린 스타트업 정보들을 포스팅할 계획이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끝!
린 스타트업 책을 구입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린 스타트업:지속적 혁신을 실현하는 창업의 과학
COUPANG
www.coupang.com
https://ko.wikipedia.org/wiki/%EB%A6%B0%EC%8A%A4%ED%83%80%ED%8A%B8%EC%97%85
린스타트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은 제품이나 시장을 발달시키기 위해 기업가들이 사용하는 프로세스 모음 중 하나로서,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고객 개발(Customer Deve
ko.wikipedia.org
[정부지원사업] 실전창업교육 3기 교육생 지원 f.린스타트업 (2) | 2020.08.29 |
---|---|
스타트업 필수 용어 정리 f.API (4) | 2020.08.21 |
[책] 린 스타트업 1부 메모 f.비전 (2) | 2020.08.21 |
[애플 경품] 2,000만원 모의 투자 이벤트 공유 f.오픈트레이드 (6) | 2020.08.15 |
예비창업자라면 알아야 할 필수 사이트 추천 f.K-스타트업 (8) | 2020.08.14 |